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聖人不仁 以百姓爲芻狗
天地之間 其猶橐籥乎 虛而不屈 動而愈出
多言數窮 不如守中 (道德經 5장)
①
Heaven-and-Earth is not sentimental;
It treats all things as straw-dogs.
The Sage is not sentimental;
He treats all his people as straw-dogs.
Between Heaven and Earth,
There seems to be a Bellows:
It is empty, and yet it is inexhaustible;
The more it works the more comes out of it.
No amount of words can fathom it:
Better look for it wihin you.
(Jhon C.H., Wu, Tao The Ching Lao Tzu, Shambhala Boston & London(2006), p.11)
②
The heavens and the earth are not partial to institutionalized morality.
They take things and treat them all as straw dongs.
Sages too are not partial to institutionalized morality.
They treat the common people as straw dogs.
The space between the heavens and the earth
Isn’t it just like a bellows!
Even though empty it is not vacuous.
Pump it and more and more comes out.
It is better to safeguard what you have within
Than to learn a great deal that so often goes nowhere.
(Roger T. Ames and David L. Hall, Dao De Jingm Ballantin Books New York(2003), p.84)
영어세대를 위한 노자 도덕경, 김영일 역해, 선학사, 2017.
무심하다는 것은 이렇다 저렇다 판단함이 없다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오히려 만물과 사람이 제 할 것을 잘 할 수 있는 상태임. 無爲 -> 자연스럽게 흘러가는 순리.
사람 간의 관계에서 투사로 가득하게 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의식적으로 이 마음을 비우려고 한다면 마음을 잘 다스릴 수 있으며, 제 할 일도 잘하게 됨을 뜻합니다...
낸시의 오렌지 : 마음탐구생활, 분석심리학으로 도덕경 해설하기, 투사로 가득한 마음 비우기/도덕경 5장에서 (https://www.tistouy.com/31)
'일상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곡의 신비스런 작용은 소멸하지 않는다(도덕경 6장) (0) | 2021.03.22 |
---|---|
너 자신이 되어야 해 - 미나리의 데이빗, 앨런 김 인터뷰에서 (0) | 2021.03.21 |
별수 없어서 그린 일기, 루비 앨리엇 글 그림, 종이섬, 2018 (0) | 2021.03.12 |
가슴 시린 곳 (0) | 2021.03.11 |
말을 낳는 아이, 애지니-애지니아빠 지음, 이강훈 그림-파롤앤, 2021 (0) | 2021.03.06 |